대한민국의 국회부의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국회부의장은 대한민국 국회의 의장 다음으로 국회를 대표하는 직책이다. 역대 국회부의장들은 국회의장 유고 시 그 직무를 대행하며, 국회 운영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제헌 국회부터 현재까지 여러 인물이 국회부의장을 역임했으며, 장경순은 제6, 7, 8대 국회에서 최장 기간 재임했다. 대한민국 국회 역사상 최초의 여성 국회부의장은 제21대 국회 전반기 부의장을 지낸 김상희이며, 김영주 또한 제21대 국회 후반기 부의장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국회부의장 - 정진석 (정치인)
정진석은 1960년 충청남도 공주 출생으로 한국일보 기자 출신이며, 16, 17, 18, 20, 21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이명박 정부에서 대통령 정무수석비서관을 지냈으며, 20대 국회에서 새누리당 원내대표와 국회 부의장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국회부의장 - 이학영
이학영은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학생 운동과 시민 사회 활동을 거쳐 남민전 사건으로 투옥되었으나 민주화 운동으로 사면되었으며, 경기 군포시에서 내리 4선 국회의원을 지낸 더불어민주당 소속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국회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은 국민을 대표하여 법률 제정과 국정 심의를 수행하며 4년 임기에 만 18세 이상에게 선거권이 주어지고, 면책특권과 불체포특권을 가지는 동시에 청렴, 국익 우선, 품위 유지의 의무를 지닌다. - 대한민국의 국회 - 대한민국의 국회사무총장
대한민국의 국회사무총장은 국회의장의 감독하에 국회의 사무를 총괄하고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국회의장의 제청과 본회의의 승인을 거쳐 임명되어 국회 운영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대한민국의 선거에 관한 -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7월 30일과 10월 29일에 국회의원 및 기초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치러졌으며, 7월 선거에서는 새누리당이 과반 의석을 차지했고, 10월 선거는 새누리당의 승리로 끝나 야당이 분열되는 결과를 낳았다. - 대한민국의 선거에 관한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는 2012년 4월 11일에 실시되었으며, 새누리당이 152석을 얻어 과반 의석을 확보했고, 야권연대, 선거구 조정, 투표율 54.3% 등의 특징을 보였다.
대한민국의 국회부의장 | |
---|---|
대한민국 국회부의장 | |
직위 정보 | |
직위 | 국회부의장 |
소속 국회 | 대한민국 국회 |
임명 방식 | 국회의원 투표 |
역할 | |
주요 역할 | 국회의장 유고 시 의장 직무 대행 국회 운영 및 회의 진행 보조 국회 내 위원회 및 의원 간 협의 지원 국회의장단 구성원 |
국회부의장의 수 | 2명 |
선출 방법 | 국회 본회의에서 선출 |
현직 | |
현직 국회부의장 | 이학영 (더불어민주당) |
현직 국회부의장 | 주호영 (국민의힘) |
역대 국회부의장 | |
대한민국 제1대 국회 부의장 | 김동성, 장택상 |
대한민국 제2대 국회 부의장 | 조봉암, 이윤영 |
대한민국 제3대 국회 부의장 | 최규옥, 곽상훈 |
대한민국 제4대 국회 부의장 | 이재학, 박해정 |
대한민국 제5대 국회 부의장 | 곽상훈, 김도연 |
대한민국 제6대 국회 부의장 | 나용균, 윤제술 |
대한민국 제7대 국회 부의장 | 정해영, 김진만 |
대한민국 제8대 국회 부의장 | 김진만, 민관식 |
대한민국 제9대 국회 부의장 | 이철승, 김종익 |
대한민국 제10대 국회 부의장 | 구태회, 채문식 |
대한민국 제11대 국회 부의장 | 고재청, 정래혁 |
대한민국 제12대 국회 부의장 | 김녹영, 최영철 |
대한민국 제13대 국회 부의장 | 김재광, 김현규 |
대한민국 제14대 국회 부의장 | 황낙주, 오한구 |
대한민국 제15대 국회 부의장 | 김수한, 조홍규 |
대한민국 제16대 국회 부의장 | 김영배, 홍사덕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 부의장 | 이상득, 김덕규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 부의장 | 이윤성, 홍재형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 부의장 | 정갑윤, 박병석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 부의장 | 심재철, 주승용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 부의장 | 김상희, 정진석 |
대한민국 제22대 국회 부의장 | 이학영, 주호영 |
2. 역대 국회부의장
회기 | 이름 | 재임 기간 | 비고 |
---|---|---|---|
22대 | 이학영 | 2024. 6. 5.~ | |
주호영 | 2024. 6. 27.~ | ||
21대 | 김상희 | 2020. 6. 5.~2022. 5. 29. | |
정진석 | 2021. 8. 1.~2022. 5. 29. | 전·후반기 부의장[3] | |
김영주 | 2022. 7. 4.~2024. 5. 2. | ||
정진석 | 2022. 7. 4.~2022. 11. 10. | 전·후반기 부의장[3] | |
정우택 | 2022. 11. 10.~2024. 5. 29. | 보선 | |
20대 | 심재철 | 2016. 6. 9.~2018. 5. 29. | |
박주선 | 2016. 6. 9.~2018. 5. 29. | ||
이주영 | 2018. 7. 13.~2020. 5. 29. | ||
주승용 | 2018. 7. 13.~2020. 5. 29. | ||
19대 | 이병석 | 2012. 7. 2.~2014. 5. 29. | |
박병석 | 2012. 7. 2.~2014. 5. 29. | ||
정갑윤 | 2014. 5. 30.~2016. 5. 29. | ||
이석현 | 2014. 5. 30.~2016. 5. 29. | ||
18대 | 이윤성 | 2008. 7. 16.~2010. 5. 29. | |
문희상 | 2008. 7. 16.~2010. 5. 29. | ||
정의화 | 2010. 6. 8.~2012. 5. 29. | ||
홍재형 | 2010. 6. 8.~2012. 5. 29. | ||
17대 | 김덕규 | 2004. 6. 7.~2006. 5. 29. | |
박희태 | 2004. 6. 7.~2006. 5. 29. | ||
이용희 | 2006. 6. 19.~2008. 5. 29. | ||
이상득 | 2006. 6. 19.~2008. 5. 29. | ||
16대 | 홍사덕 | 2000. 6. 5.~2001. 6. 12. | |
김종하 | 2001. 6. 12.~2002. 5. 29. | 보선 | |
김종호 | 2004. 6. 7.~2006. 5. 29. | ||
김태식 | 2002. 7. 8.~2004. 5. 29. | ||
조부영 | 2002. 7. 8.~2004. 5. 29. | ||
15대 | 오세응 | 1996. 7. 4.~1998. 5. 29. | |
김영배 | 1996. 7. 4.~1998. 5. 29. | ||
신상우 | 1998. 8. 17.~2000. 5. 29. | ||
김봉호 | 1998. 8. 17.~2000. 5. 29. | ||
14대 | 황낙주 | 1992. 6. 29.~1994. 6. 28. | |
허경만 | 1992. 6. 29.~1994. 6. 28. | ||
이춘구 | 1994. 6. 29.~1995. 2. 20. | ||
이한동 | 1995. 2. 20.~1996. 5. 29. | 보선 | |
홍영기 | 1994. 6. 29.~1996. 5. 29. | ||
13대 | 노승환 | 1988. 5. 30.~1990. 5. 29. | |
김재광 | 1988. 5. 30.~1990. 5. 29. | ||
김재광 | 1990. 5. 30.~1992. 5. 29. | 연임 | |
조윤형 | 1990. 6. 19.~1992. 5. 29. | ||
12대 | 최영철 | 1985. 5. 13.~1987. 5. 12. | |
김녹영 | 1985. 5. 13.~1985. 7. 10. | ||
조연하 | 1985. 10. 28.~1986. 11. 29. | 보선 | |
장성만 | 1987. 5. 13.~1988. 5. 29. | ||
11대 | 채문식 | 1981. 4. 11.~1983. 4. 10. | |
김은하 | 1981. 4. 11.~1983. 4. 10. | ||
윤길중 | 1983. 4. 11.~1985. 4. 10. | ||
고재청 | 1983. 4. 11.~1985. 4. 10. | ||
10대 | 민관식 | 1979. 3. 17.~1980. 10. 27. | 의장직무대리: 1979. 12. 18.~1980. 10. 27.[3] |
고흥문 | 1979. 3. 17.~1980. 8. 27. | 국가보위입법회의[3] | |
9대 | 김진만 | 1973. 3. 12.~1976. 3. 11. | |
이철승 | 1973. 3. 12.~1976. 3. 11. | ||
구태회 | 1976. 3. 12.~1979. 3. 11. | ||
이민우 | 1976. 3. 12.~1979. 3. 11. | ||
8대 | 장경순 | 1971. 7. 26.~1972. 10. 17. | 장경순 연임. 비상국무회의[3] |
정해영 | 1971. 7. 26.~1972. 10. 17. | ||
7대 | 장경순 | 1967. 7. 10.~1969. 7. 9. | |
윤제술 | 1968. 6. 7.~1970. 6. 6. | ||
장경순 | 1969. 7. 10.~1971. 6. 30. | 연임 | |
정성태 | 1970. 9. 7.~1971. 6. 30. | ||
6대 | 장경순 | 1963. 12. 17.~1965. 12. 16. | |
나용균 | 1963. 12. 17.~1965. 12. 16. | ||
장경순 | 1965. 12. 17.~1967. 6. 30. | 연임 | |
이상철 | 1965. 12. 17.~1967. 6. 30. | ||
5대 | 이영준 | 1960. 8. 8.~1961. 5. 16. | 양원제. 국가재건최고회의[3] |
서민호 | 1960. 8. 8.~1961. 5. 16. | ||
소선규 | 1960. 8. 8.~1961. 5. 16. | 참의원 | |
4대 | 이재학 | 1958. 6. 7.~1960. 5. 26. | 연임 |
한희석 | 1958. 6. 7.~1959. 9. 2. | ||
임철호 | 1959. 10. 4.~1960. 5. 26. | 보선 | |
김도연 | 1960. 6. 10.~1960. 7. 28. | ||
이재형 | 1960. 6. 10.~1960. 7. 28. | ||
3대 | 최순주 | 1954. 6. 9.~1954. 12. 2. | |
조경규 | 1955. 3. 2.~1956. 6. 8. | 보선 | |
곽상훈 | 1954. 6. 9.~1956. 6. 8. | ||
조경규 | 1956. 6. 9.~1958. 5. 30. | 연임 | |
황성수 | 1956. 6. 9.~1956. 11. 27. | ||
이재학 | 1956. 12. 5.~1958. 5. 30. | 보선 | |
2대 | 장택상 | 1950. 6. 19.~1952. 5. 6. | |
조봉암 | 1950. 6. 19.~1952. 6. 18. | ||
김동성 | 1952. 5. 8.~1952. 6. 18. | 보선 | |
조봉암 | 1952. 7. 10.~1954. 5. 30. | 연임 | |
윤치영 | 1952. 7. 10.~1954. 5. 30. | ||
제헌 | 신익희 | 1948. 5. 31.~1948. 8. 3. | |
김동원 | 1948. 5. 31.~1950. 5. 30. | ||
김약수 | 1948. 8. 4.~1949. 7. 2. | 보선 | |
윤치영 | 1949. 7. 4.~1950. 5. 30. | 보선 |
장경순은 1963년 12월부터 1972년 10월까지 제6·7·8대 국회에서 최장 기간 국회부의장을 역임하였다. 대한민국 국회 역사상 최초의 여성 국회부의장은 김상희이다.
3. 기록
3. 1. 최장 재임 국회부의장
장경순은 최장 기간 재임한 국회부의장이다.[1]
3. 2. 여성 국회부의장
대한민국 국회 역사상 최초의 여성 국회부의장은 제21대 전반기 국회부의장을 역임한 김상희이다. 제21대 국회 후반기에는 김영주가 두 번째 여성 국회부의장으로 선출되었다.[1][2]
참조
[1]
뉴스
21대 후반기 국회의장에 김진표, 부의장에 정진석·김영주(종합)
https://newsis.com/v[...]
2022-07-04
[2]
뉴스
헌정사 두번째 여성 국회부의장 된 4선 김영주
https://www.yna.co.k[...]
2022-07-04
[3]
웹인용
국회부의장
https://www.assembly[...]
20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